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85

퇴직금 계산방법 (지급기한✅) 1년 동안 회사를 근속한 근로자가 퇴직을 할 경우 퇴직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퇴직금은 연봉에 따라 달라지는데요, 퇴직금 조건과 퇴직금을 어떻게 계산해야 하는 걸까요? 오늘은 퇴직금 계산방법에 대하여 알아보고 지급기한까지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퇴직금이란? 1년 365일을 근속하여 채운 근로자에게 퇴직할 시 지급되는 일시지급금입니다. 퇴직수당, 퇴직 위로금을 함께 받기도 하며 퇴직 공로 보상금이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퇴직금을 받기 위해서는 몇 가지 요인이 필요합니다. 무엇일지 지금부터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1. 근무 기간 1년 이상(365일 +) 일 경우 2. 1주 소정 근로시간이 15시간 이상일 경우 근무 형태의 경우 계약직, 정규직과는 무관하게 모두 받을 수 있으며 근로기준법에 근거한 상시 근로.. 2023. 4. 3.
근로계약서 작성시기 (미작성시) 회사에 첫 입사를 하게 되면 회사에서의 생활도 중요하지만 연봉에 대해 명확하게 하고 싶은 마음이 다들있으실텐데요, 오작성 과정이 번거롭고 귀찮지만 이러한 근로계약서는 근로자로서 꼭 챙겨야 할 권리입니다. 오늘은 근로계약서 작성시기에 대해 알려드리고 미작성시 벌금이나 처벌 등은 없는지도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근로계약서 작성시기는? ✅근로계약서 작성시기는 첫 근무 전에 작성합니다. 근로계약서를 작성하는 이유는 근로기준을 명확하기 위함입니다. 이로 인해 여러가지 근무시간, 근무형태, 근무했을 때 받는 연봉 등이 서로 간에 체크되어 분쟁이 발생하는 것이 예방되기 때문입니다. ☑️ 근로계약서 작성시기와 관련된 규정은사실 없습니다만 작성을 미룰 경우 근로계약서 미작성에 해당합니다. 출근일을 기준으로 빠른 시일.. 2023. 4. 3.
부가가치세 (신고기간) 매년 진행되는 부가가치세 신고기간을 놓칠 경우 가산세를 지급해야 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부가가치세 신고기간에 대하여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부가가치세란? 부가가치세는 사실 물건 값에 포함되어있어 실제로 최종소비자가 부담하는데요, 이 최종 소비자가 부담한 부가가치세를 법인 또는 개인 사업자가 세무서에 납부해야 합니다. 부가가치세 신고기간 6개월을 과세기간으로 신고 및 납부해야 하는데요, 과세 기간은 다시 3개월을 나누어 중간중간에 예정 신고기간으로 두고 있습니다. 부가가치세 신고기간은 아래 표에서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보통 법인사업자의 경우 1년에 4회, 개인사업자의 경우 1년에 2회 신고합니다. ★ 현재 1기 예정 부가가치세 신고 기간이기 때문에 해당 신고 및 납부를 4월 25일 화요일 오전 7시부.. 2023. 4. 2.
시가표준액 조회 (재산) 어려운 말일 수도 있지만 간단하게 생각하시면 세금을 내기 위해서 과세가 되는 기준이 되는 금액입니다. 세금을 징수하기 위해서는 시가표준액이 과세표준의 기준이 되기 때문입니다. 오늘은 시가표준액이란 무엇이고, 어떻게 조회하는지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시가표준액이란? 취득세, 재산세 등 과세표준을 정하기 위해 과세 관청이 과세를 위한 최저한의 표준 가격으로서 결정 및 고시한 가액을 시가표준액이라고 합니다. 보통 시가표준액은 시, 군, 구청장이 행정 안전부장관이 정한 조정 기준에 따라 시가표준액을 산정하고, 시 및 도지사의 승인을 받아서 매년 1월 1일 결정하여 고시합니다. 종합소득세 신고대상 (제외대상) 직장에 다니는 분은 연말정산을 하지만 개인소득이 있으신 분들은 종합소득세를 신고합니다. 종합소득세는 .. 2023. 3.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