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85

기초연금 부부수령액 (기준) 노후준비가 넉넉치않을 경우 우리가 65세가 되었다면 기초연금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나라에서는 노후를 위한 정말 많은 혜택 등을 제공하고 있는데요, 오늘은기초연금 부부수령액 어느정도일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지금부터 이 글을 통해 기초연금 부부수령액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 기초연금 무엇일까? 만 65세 이상, 그리고 소득인정액 선정 기준 이하인 가구를 대상으로 생활이 넉넉하지 못한 분들에게 기초연금을 제공합니다. 보통 물가상승률에 따라 매년 기초연금이 산정되는데요, 2023년 상향지급되어 많은 분들이 기초연금을 받아보고계십니다. 수급자격은 아래와 같습니다. 아래 자격을 부합하는 가구라면 기초연금을 신청해보시기 바랍니다. ☑️ 만 65세 이상 ☑️ 소득인정액 단독가구 202만원 이하, 부부가구 3,.. 2023. 5. 25.
주거급여 지원금액 (얼마일까?) 목차주거만 해결된다고 하더라도 참 안심이 될텐데요, 생활에 어려움을 겪고있는 분들은 주거급여를 받을 수 있다는 것 아시나요? 오늘은 이 글을 통해 2023년 주거급여 지원금액이 얼마일지? 신청 방법까지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주거급여 신청자격은?주거급여 신청 자격은 3가지 기준에 따라 신청할 수 있습니다. 소득기준, 재산기준, 나이기준입니다. 소득기준 주거급여의 경우 기준 중위소득 47% 이하인 분들이 신청할 수 있습니다. 기준 중위소득은 소득인정액을 기준으로 산정되는데요, 소득인정액 = 월 소득평가액 + 재산의 월 소득 환산액을 말합니다.  기준 중위소득이란?  [기준 중위소득 47%]재산기준✅ 대도시 : 6,900만원 이하✅ 중소도시 : 4,200만원 이하✅ 농어촌 : 3,500만원 이하 재산 외 .. 2023. 5. 24.
국민연금 납부액 계산 (조회) 매월 내야 하는 국민연금을 조회해 본 적 있으신가요? 생각보다 많은 분들이 국민연금을 매월 납부함에도 불구하고 실제 총액등을 얼마나 냈는지 모르실 텐데요, 오늘은 국민연금 납부액을 계산하여 총 얼마나 쌓였는지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국민연금 납부액 계산방법 우리는 국민연금이 어떻게 산정되는지 잘 모릅니다. 하지만 국민연금은 매월 급여에서 9%가량 빠져나가게 되어있는데요, 직장가입자의 경우 회사와 50%씩 나누어 내고 있기 때문에 계산식은 정말 간단합니다. 국민연금 납부액 계산식 = 급여 x 9% / 2 와 같이 계산하면 되며 예를 들어 급여가 300만 원일 경우 3,000,000 x 9% / 2 = 135,000 가량 됩니다. 이렇게 매번 계산하는 것도 방법이겠지만 우리는 더 간편한 방법으로 지금까지.. 2023. 5. 23.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조회 (미리 체크) 우리가 매월 급여를 받을 경우 자동으로 제외되는 갑근세 중에 국민연금 또한 있는데요, 오늘은 국민연금 예상수령액을 확인해 보고 얼마나 받을 수 있는지 예상수령액을 조회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국민연금 수령액 조회방법 노후를 위한 정부의 방침중 하나로 국민연금이 있는데요, 우리가 매번 내야 하는 국민연금을 노후에 못 받게 되지는 않을까 노심초사한 분들 많으실 것 같습니다. 오늘은 매번 급여를 받을 때마다 내야 했던 국민연금을 얼마나 받을 수 있을지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국민연금 홈페이지 중 예상수령액을 조회할 수 있는 사이트로 바로 이동해보시기 바랍니다. 로그인이 귀찮으신 분들은 모의계산도 가능하지만 내 국민연금을 정확하게 조회하기 위해서는 공인인증이 필요합니다. 아래 페이지 중 '예상연금액 조회.. 2023. 5. 22.